Saturday, February 22, 2025
- Advertisement -spot_img

CATEGORY

황현조 칼럼

[황현조 박사 칼럼] “두 개의 관점”

"두 개의 관점" 사람은 모두 제각기 어떤 관점을 가지고 인생을 살아간다. 이를 흔히 인생관이라 한다. 사람들이 가지는 인생관을 신앙적인 면에서 나누어 보자. 어떤 사람은 하나님을...

[황현조 박사 칼럼] “가장 아름다운 이름”

"가장 아름다운 이름" 미 동부에는 긴 겨울이 가고 이제 새 봄이 왔다. 신록의 계절 5월은 가정의 달이요 둘째 주일은 어머니주일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름이...

[황현조 박사 칼럼] “부활”

"부활" 부활절을 앞두고 극장가에서 상영되었던 “Risen”(부활)이라는 영화를 본적이 있다. 이 영화는 한 로마 군인이 예수님의 부활을 목격한 후에 극적으로 변화되는 삶의 모습을 그렸다. 로마제국의 고위...

[황현조 박사 칼럼] “초승달과 십자가”

"초승달과 십자가" 주후 330년 로마제국의 콘스탄틴 황제는 수도를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플(현 이스탄불)로 옮긴다. 콘스탄티노플은 원래 고대 그리스의 도시 비잔티온이었다. 395년 로마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가 사망하자 그의 두...

[황현조 박사 칼럼] “50:20의 원리”

"50:20의 원리" 최근 필자의 교회가 위치한 타운의 한 극장에서 있은 션연(Shen Yun, 神韻)이라는 중국 예술단의 공연을 관람한 적이 있다. 션연은 중국의 5천년 문명속에 내포된 관용,...

[황현조 박사 칼럼]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작가중의 하나로 꼽히는 러시아의 사실주의 문학가 레프 톨스토이는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주제로 단편소설을 썼다. 기독교 신앙인인 톨스토이는 예수님의 “사람이...

[황현조 박사 칼럼] “신앙과 이성”

“신앙과 이성” 신앙과 이성은 항상 대립되어 왔다. 이성이 발달 할수록 신앙은 평가절하 되어졌다. 이성을 중시한 고대 희랍의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은 17세기 데카르트, 칸트의 이성주의 또는...

[황현조 박사 칼럼] “예수님의 유모어”

“예수님의 유모어” 성경에 보면 예수님이 우셨다는 구절은 세번 나온다. 나사로의 무덤 앞에서(요 11:35), 멸망이 임박한 예루살렘 성을 보시고(눅 19:24), 그리고 십자가 죽음 직전에 겟세마네 동산에서...

[황현조 박사 칼럼] “하나님의 손”

“하나님의 손” 시인 루이 해스킨스가 쓴 “하나님은 네 길을 아신다”(God Knows Your Way)라는 시가 있다. “깜깜한 밤에 집을 나설 때 너는 등불을 원하겠지. 그러나 먼저...

[황현조 박사 칼럼] “평강의 새해”

“평강의 새해” 새해 아침이 밝았다. 사도행전에 보면, 하나님은 연대를 정하셔서 우리로 하여금 새해를 맞이하는 축복을 주셨다(17:26). 우리가 무사히 건강하게 살면서 새해를 계속 맞이할 수 있다는...

많이 본 기사

- Advertisement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