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연, 포스트코로나시대 교회 공동체성 조사
“교회 내 공적 체계 돌봄 보다 사적 친밀 선호”
코로나 시기 그리스도인들은 교회의 공적 체계에 의한 사귐과 돌봄보다는 사적으로 친밀한 교인들과 서로 연락을 주고받으며 위안을 얻고 있었다. 교회 안의 소외 이웃이 생기지 않도록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목회자들의 관심이 요구된다.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원장:김영주 목사·이하 기사연)이 ‘코로나 시대, 한국교회의 예배와 영성’을 주제로 전국 개신교인 1000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다. 이번 조사에서는 코로나19 기간 평신도 교인 간 사귐과 돌봄이 잘 이뤄졌는지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다. 여기에 대해 응답자 절반에 가까운 48.7%가 ‘잘 이뤄지지 않았다’고 응답했으며,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33.6%였다. 그리고 6명 중 1명에 불과한 17.7%만이 팬데믹 기간 중 교인 간 사귐과 돌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기간 가장 많이 경험한 교인 간 사귐과 돌봄의 형태는 ‘가까운 교인들과 연락을 주고받으며 위안을 얻는 것’(62.4%)이었으며, 소그룹 리더의 비대면/대면 기도와 위로는 각각 40.7%와 19.4%였다.
4월 28일 서울 충정로 공간이제에서 열린 ‘변화하는 혹은 답보하는 한국교회’ 학술포럼의 발제자로 나선 정경일 교수(성공회대학교)는 조사 결과를 분석하며, “코로나 이전의 교회 공동체 내 사귐과 돌봄은 교인들 사이에서 상호적으로 이뤄졌다. 따라서 교인 간 대면 접촉이 어려운 코로나 상황에서 공동체적 사귐과 돌봄이 위축됐다는 인식은 당연한 결과”라면서 “교회의 공적 리더십 체계에 의한 사귐과 돌봄보다 친밀한 교인끼리 사적으로 서로 사귀고 돌보는 것이 더 문화화 돼있는 것으로 볼 때, ‘군중 속의 외로움’을 겪고 있는 교인들을 향한 교회 차원의 돌봄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교인 간 사귐과 돌봄으로부터 소외감을 느끼는 경향은 대형교회 교인들에게서 두드러졌다. 3000명 이상 대형교회 소속 응답자들 중 교인 간 돌봄과 사귐이 잘 이뤄지지 않았다고 답변한 비율은 53.8%로, 소형(99명 이하, 45.1%)과 중소형(100~499명, 49.2%), 중대형(500~2999명, 48.0%) 등 다른 규모 교회 소속 개신교인들의 답변 비율은 50% 미만인 것과 비교해 차이를 보였다. 이는 소형 또는 중형 교회에서 인격적 소통과 관계가 상대적으로 더 잘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교인들은 팬데믹 기간 목회자의 영적 지도와 돌봄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잘 이뤄졌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가 32.5%로, ‘그렇다’라는 답변 30.9%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의외인 것은 목회자와 교인 간 인격적 소통 및 관계가 가능해 영적 지도와 돌봄도 더 활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소형교회에서 ‘잘 이뤄지지 않았다’는 답변이 36.5%로 가장 높았다. 이른 다른 규모 교회보다 최저 4.1%p에서 최고 6.4%p 높은 수치다. 정 교수는 “소형교회에서는 단독 혹은 소수 목회자가 영적 지도와 돌봄을 전달해야 하는 반면, 중대형교회에서는 여러 목회자 또는 교역자가 세분된 각자의 영역에서 영적 지도와 돌봄을 체계적으로 분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인격적 관계가 가능한 작은 교회일수록 목회자에 대한 기대감과 의존감이 커서, 코로나 시기의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 더 큰 결핍과 상실감을 느끼게 된 것일 수도 있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한편 많은 개신교인들은 교회들이 코로나 이후 경제적으로 취약한 교인에 대해 활발한 지원과 돌봄을 전개하고 있다고 인식했다. 코로나19 발생을 전후로 출석 교회의 경제적 취약 교인 도움 활동 정도에 대해, ‘활발해졌다’는 응답(37.2%)은 ‘약화됐다’는 답변(26.2%)보다 높게 나타났다. 흥미로운 것은 취약 교인 돌봄이 활발해졌다는 답변이 교회 규모와 비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물론 인·물적 역량을 갖춘 대형교회에서 ‘활발해졌다’는 비율(44.0%)이 가장 높았지만, 그 다음으로는 소형교회(40.0%)가 중소형교회(33.3%)와 중대형 교회(33.2%)보다 더 높았다. 이에 대해 정 교수는 “소형교회는 서로 염려하고 배려하는 인격적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면서 “대형교회의 ‘역량’과 소형교회의 ‘관계’를 모두 가질 수 있는 중대형 교회가 경제적 취약 교인 돌봄에서 가장 저조하다는 사실은 전체 교회 차원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소형교회가 ‘약화됐다’는 비율(33.6%) 역시 20% 초중반대를 보인 타 규모 교회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데 대해서는 “소형교회의 재정 형편이 양극화되고 있거나, 어려움 속에서도 교인들을 돕는 소형교회가 상대적으로 많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시대, 한국교회의 예배와 영성’에 대한 조사는 기사연이 조사기관 지앤컴리서치(대표:지용근)에 의뢰해 2월 24일부터 3월 3일까지 온라인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기독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