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선교 약화 우려 심화
새 규정 5월 1일부터 시행
중국 관영 언론에 따르면, 지난 주 중국 공산당이 발표한 새로 개정된 규정은 중국 내 선교 활동을 엄격하게 제한할 것으로 보여, 중국 선교의 동력을 크게 약화시킬 우려를 낳고 있다.
이 새로운 규정은 오는 5월 1일부터 시행되며, 외국인이 정부의 공식 승인 없이 설교하거나 전도 또는 종교 단체 설립을 금지하고 있다.
중국 정부 당국은 이 개정된 규정은 ‘정상적인 종교활동’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리화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정상적인 종교활동’이란 전형적인 종교 박해의 일반적인 명분인 국가 안보 증진과 국영 종교 기관의 일부로서 정부의 엄격한 감독 하에 운영되는 활동을 의미한다.
사실 중국 공산당은 신학적 뿌리에 관계없이 독립적인 종교 활동을 이단적이고 극단주의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모든 기독교 종교 활동은 국영 교회 범위 내에서 이뤄질 것을 못 박고 있다.
이에따라 국가가 인정하는 제도권이 아닌, 독립 가정교회는 종종 급습을 당하고 신도들은 국가 이익에 반하는 일을 했다는 혐의로 체포되고 있다.
올해 초 중국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독립 종교 단체에 대한 박해는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관영 매체인 글로벌타임스는 “지난해 중국 공안 당국은 컬트 조직의 성장과 확산을 억제하여 국가 정치 안보에 대한 잠재적 위협을 완화하고 사회 안정을 유지를 위한 사이비 종교 단체 해체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보도했다.
또한 중국 공안 당국도 중국 메시징 앱과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위챗에 올린 보도자료를 통해 독립 종교 단체 퇴치를 위한 기술 및 인력에 대한 지원을 늘렸다고 홍보하고 나섰다.
한편 중국의 감시 시스템의 실체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연구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모든 시민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중국 공산당에 대한 충성도를 파악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스템은 개인의 사소한 일상사까지 추적하며 충성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중국 정부 당국은 이 시스템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가에 위협된다고 판단되는 사람들을 감시 및 통제하고 있다. 특히 미등록 가정교회 운동과 관련된 사람이나 국영 기관 범위 밖 종교 활동가들은 주요 감시 대상에 포함된다.
이러한 현실에 따라, 중국 선교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접근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이영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