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부터 포럼…4개 신학대 교수 발제
초기 선교 정신 비춰 교회 미래 모색

한국 선교 14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근현대사와 함께해온 한국교회를 돌아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140년 전 이 땅에 복음을 전해 준 선교사들의 정신과 열정을 회복해 오늘을 극복하고 희망의 내일을 열어갈 것을 다짐했다.
나부터포럼(대표 류영모 목사)이 3월 18일 서울 신문로1가 새문안교회에서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2025 나부터 포럼’을 개최했다. ‘내일의 눈으로 140년을 보다’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날 자리는 초기 선교 정신을 되새기며 현실을 바라보고, 한국교회의 미래를 함께 모색하는 시간이었다.
대표 류영모 목사는 “암울했던 이 땅에 빛으로 찾아온 기독교는 당시 고난받는 백성의 친구였다. 그렇지만 민족의 친구로 걸어온 지 140년이 된 오늘날 한국교회는 역사의 중심, 사회의 중심에 서기는커녕 갈등의 중심에 선 부끄러운 모습”이라며 “이 중차대한 역사적 한 시점에 서서 우리는 반드시 다시 일어나 빛이 되고 희망이 될 내일 한국교회의 그 눈으로 지나온 140년의 역사를 살펴 보고자 한다”라고 취지를 밝혔다.
이날 발제자로는 140년 전 이 땅을 찾아온 언더우드와 아펜젤러의 신앙 유산을 물려받은 4개 교단 신학대의 역사 교수들이 차례로 나서 그 의미를 더했다.
먼저 ‘우리에게 근대는 어떻게 왔을까’로 발제한 허은철 교수(총신대)는 한국 근대화에 영향을 끼친 선교사들의 수고와 헌신을 조명했다. 그는 “140년 전 아무런 희망이 없던 조선 땅에 선교사들이 전한 복음은 엄청난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라며 곳곳에 근대 학교와 병원, 교회가 세워지고, 여성이 교육을 받게 됐으며, 신분의 차별이 없어지게 되는 등 이른바 근대화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이어 발제한 소요한 교수(감리교신학대)도 초기 선교 시대, 한국인의 전인격적인 변화를 이끌어낸 선교사들의 역할과 더불어 한국 사회의 아픔과 희망을 함께 나누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소통과 연대의 공간으로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 온 교회의 노력을 되새겼다. 소 교수는 그러나 해방과 전쟁 이후 급격한 성장을 이룬 한국교회가 물량주의와 개교회주의에 치우쳐 사회와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었음을 지적하며, 다시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는 공동체로 나아가길 기대했다.
계속해서 ‘한국교회의 선교, 본질을 다시 묻다!’라는 제목으로 나선 한강희 교수(한신대) 역시 한국교회가 공공 신앙을 통해서 사회 문제에 선교적으로 대응할 때, 교회는 지속 가능하리라 전망했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교세 감소, 신뢰도 추락 등 위기를 겪는 이유에 대해 그는 “지금까지 한국교회가 교회를 성장시키고 성경에 입각한 그리스도 제자를 육성하는 복음적 위임에는 충실했지만, 공적인 위임에는 관심이 덜했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한 교수는 오늘을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140년 전 선교사들이 그랬던 것처럼 하나님의 연민, 성육신의 마음을 품고 공적 차원의 문제를 교회의 선교적 과제로 설정하고 적극 나서주길 당부했다.
이 일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회들의 연합이 필수적이라는 게 마지막으로 나선 박경수 교수(장로회신학대) 발제의 요지였다. 한 교수와 달리 한국교회 신뢰도 하락의 원인을 교회와 교단의 분열에서 찾은 그는 “한국교회의 분파성과 당파성은 이제 교회의 근본 사명인 선교에 걸림돌이 될 지경에 이르렀다”라며, 그런 의미에서 교회일치의 회복은 교회의 선교 사명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당면과제라고 주장했다.
[기독신문]